본문 바로가기

책/자기계발

메모 독서법_신정철

**독서법에 관한 책을 찾다가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책에 메모하고, 다시 노트로

정리하고, 그것이 쌓여 글쓰기로, 궁극적으로

삶을 바꾸는 방법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이전 저서로는 <메모 습관의 힘>이 있습니다.

“메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쓰셨다면

이 책 <메모 독서법>은 저자의 독서노하우를

뽑아서 정리해 놓은 책입니다. 전작은 저도

보지 못했는데 읽어봐야 겠네요.

 

저는 <본깨적>(박상배 저)을 읽고는 본깨적독서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손으로 쓰면 잘 못알아볼 정도의

악필이라 에버노트로 독서노트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본깨적>과 <메모독서법>

두 책의 큰 줄기는 비슷합니다

핵심내용을 정리하고 질문하며 읽고, 내 생각을

함께 적어보고, 실천할 수 있는 항목을 뽑아

보는 것 등등 ,,개인적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작성해 놓은 독서 노트를 주기적으로 보는

것입니다. 사실 제가 제일 소홀히 했던 

부분인데 <메모 독서법>을 읽으면서

다시금 느낀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예 써놓은 후기 몇개를 프린트해

놓았습니다. 오며가며 핸드폰으로 읽어야지

했다가도 딴짓?을 하게되니 좀 강제성을 부여해

보기로 했습니다. 

 

처음 독서노트를 작성해보는 분에게는 책에

나온 내용들이 꽤 많습니다. 한번에 다 해보려고

하시는 것도 좋겠지만 차근차근 습관들여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자분이 단계별로 설명을

잘 해주시니 서두에 쓴대로 7주과정으로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아직

햇병아리라 많은 조언을 드리지는 못하지만

어떻게든 계속 해나가는 게 결국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책을 읽다가 유독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습니다.

58쪽에 “내 생각과 다르거나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문장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저는 논쟁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그 “부대낌"을

발전으로 느끼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내 안에서 답을 찾아야 하거나 답답한 상황

에서는 일부러 제 "속을 긁는” 음악을 들었습니다.

제게는 묘하게 불편한 음악이 해결책을

가져다 주고는 했었습니다. 아마도 그 부대낌이

뭔가 작용을 일으켰던 것 같습니다.

책이든 사람이든 관계는 저에게 어렵네요ㅜ

“부대낌”을 성장으로 바라보는 눈이기를

바래봅니다. 

 

 

*One Big Message :읽고 메모하고 쓰면서 성장하라

 

*One Action : 메모독서법을 적용하여 1권해보기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깊이있는 독서를 위한 방법론을 알 수 있음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메모의 효과,글쓰기,실천전략

-읽은 後 : 메모의 효과,성장,실천전략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메모 습관의 힘(같은 저자)

 

 

 

<중요구절>

파란색:더 중요

보라색:내 생각

 

 

프롤로그_기억에 오래 남는 독서! 효과를 만드는 독서! 삶을 성장시키는 독서!

 

 

이 책 활용법

14..<메모독서 실천 7주 과정>

1장 준비 단계

2장 책에 메모

3장 독서 노트

4장 독서 마인드맵

5장 매모 독서로 글쓰기

6장 매모 독서 습관 만들기

7장 매모 독서 경험 리뷰

 

 

1장 | 메모 독서가 남는 독서다

25..다산 정약용과 성호이익은 독서가이면서

동시에 메모광이었습니다.

초서-발췌하며 옮겨 적는 것.

질서-책을 읽다가 번쩍하고 떠오른 생각과

깨달음이 달아나기 전에 재빨리 종이에 메모

하는 것.

28..쓰면서 책의 내용을 음미하고, 생각하며

읽는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32..메모 독서를 하면 그냥 읽을 때보다 훨씬

깊이 있는 독서를 하게 되고, 책의 내용을

더욱 잘 소화하게 됩니다

**궁극적으로 이해가 깊어지니 점점 독서시간이

줄어들 것 같다. 

36..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해도 글로 쓰지 않으면

자기 것이 되지 않습니다.

37..책의 내용을 가지고 무언가를 만들어봐야 합니다.

38..축적된 생각의 재료가 충돌하고 반응하며

아이디어가 만들어집니다.

 

 

2장 | 독서에 메모를 더하다

52..메모 독서는 시간을 레버리지 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56..적극적인 독서의 핵심은 질문입니다.

58..내 생각과 다르거나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문장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66..머릿속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바로 메모하세요.

질문을 잘 해두어야 나중에 잊지 않고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68..이해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으면 정독한 후

그 내용을 요약해 내가 만든 문장으로 적어

두세요.

**이것을 해야 한다. 내가 부족한 부분임

 

 

3장 | 독서 노트로 독서력을 키운다

78..남들이 잘 정리해 놓은 책 요약본이나 서평을

읽기만 해서는 독서력이 늘지 않습니다.

83..독서노트에 적는 항목

-쓴 날짜, 제목, 저자

-중요한 문장은 필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사한 문장에 대한 내 생각

이 과정이 독서 수준을 완전히 바꿔줍니다

-책을 읽으며 떠오른 질문

-핵심 내용 요약정리

-깨달은 것,얻은 것

-실천 항목

88..의무감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93..독서 노트에 옮겨 적는 문장(필사)은 책에서

중요도가 높고,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95..독서 노트를 쓸 시간에 차라리 다른 책을

한 권 더 읽는 게 좋지 않을까?

97..쓰면 생각하게 됩니다

생각을 축적할 수 있다.

99..독서노트는 창의적 아이디어의 원천입니다

102..독서 노트를 쓰고 난 이후에 방치하지

말고 종종 시간을 내 읽어보세요.

112..언어의 힘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 언어를

가진 사람만이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독서노트 쓰기는 새로운 언어를 찾기 위한 멈춤입니다

 

 

4장 | 독서 마인드맵으로 생각을 확장하다

131..독서 마인드맵을 가지고 책의 내용을 제대로

복원할 수 있는지를 보면 됩니다.

133..어떤 점이 좋을까요?

-전체 흐름을 파악, 잘 이해, 잘 기억, 한장요약,

필요한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글쓰기.강의.발제에 활용할 수 있다.

138..책의 일부가 아니라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싶을 때, 책에 담긴 정보를 나중에 활용하기 위해

정리해둘 필요가 있을 때 독서 마인드맵을 

만들면 좋습니다.

 

 

5장 | 메모 독서의 완성, 글쓰기

144..글을 쓰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자신에 대해

묘사하게 되고, 그 결과 자기 자신을 더 잘알게

됩니다.

145..책에서 얻은 생각을 내 삶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글을 써야 합니다.

자신의 경험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146..글쓰기는 이기적이면서 동시에 이타적인

활동입니다.

148..해결되지 않으면 안 되는 질문이 머릿속을

가득채우고 있는 사람이 글을 씁니다.

155..글쓰기라는 과제를 잘게 쪼개 하나씩

해결하면 글쓰기가 쉬워집니다.

159..메모 독서를 활용한 글쓰기 5단계

1)질문 만들기

2)자료 조사,글의 소재 메모하기

3)개요 짜기

4)초안 작성하기

5)퇴고,이미지 첨부하기

164..나와 세상의 관심사가 교집합이 되는 주제를

정해야 글을 쓸 때 나 자신도 성장하고 다른 

이들에게도 가치를 줄 수 있습니다.

166..널리 공유되는 글은 대중성과 진정성을 

겸비해야 합니다.

171..내가 쓴 글을 통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독자는 바로 ‘나’입니다.

 

 

6장 | 읽는 사람에서 쓰는 사람이 되는 메모 독서 습관

177..먼저 읽는 사람이 되는 것.

179..책 읽는 시간 고정하기

180..독서목록 만들기

182..SNS에 공유해보세요

184..독서모임을 통해 전에는 관심이 없어 보지

않았던 경제, 역사 분야의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185..모인 사람들의 수만큼 다양한 시각으로

한 권의 책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190..가장 큰 수혜자는 발제자입니다.

196..독서 노트를 너무 열심히 쓰려고 하지

마세요.

198..메모 독서를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메모 독서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7장 | 메모 독서는 생각을 만들고, 생각은 삶을 바꾼다

207..세 가지 키워드로 자신을 소개하는 것.

관심사/하고 있는 일/가치관

215..’나'라는 사람의 정체성은 전적으로 그 경계선을

어디에 긋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217..경계선은 다시 그어질 수 있습니다. 경계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219..경계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현재

‘내가 어떤 믿음’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221..세상에 대한 잘못된 믿음도 경계로 작용합니다.

222..독서는 경계를 확장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226..눈으로만 읽는 소극적 독서로는 독해와 해석 

역량을 키우기 어렵습니다.

231..메모 독서는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시간이 책과의 관계를 변화시킵니다.

234..독서 노트는 독서를 더 재미있게 만드는

활동이지,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과제가 아닙니다.

 

 

에필로그 메모 독서의 ‘즐거운’ 부작용

239..메모 독서로 책을 읽을 때마다 지식의 경계가

확장되면서 새로운 경계와 인접하는 더 광대한

미지의 영역과 맞닥뜨립니다.

 

부록 독서 노트 Q&A 5 / 독서 노트 예시 / 독서 마인드맵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