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경환작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Vsmuy9k72_evioY2UoQkbQ
*작가 출연영상-815머니톡:https://youtu.be/w5vowJ4ncqQ
**책의 두께(하드커버라 왠지 두꺼워보임)와 표지만 보고
‘아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읽기 시작하면서
괜한 걱정이었다는 느낌입니다. 경제의 흐름을 채권중심으로
쉽게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물론, 생소한 용어와 개념도
나오지만 그만큼 반복해서 설명해줍니다.
글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채권투자의 첫걸음은 떼지
않을까하네요. 경제사이클과 미국과 이머징국가대해서도
연관지어 설명이 잘되어 있으니 채권은 어려워서 지레포기하신
분에게는 아마도 징검다리가 될 책 같습니다.
*One Action : 하이일드스프레드 주기적으로 체크하자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채권으로 설명하는 경제의 흐름.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거시경제, 투자전략, 데이터중요성
-읽은 後 : 거시경제, 투자전략, 지표의 중요성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돈의 속성(김승호)
<중요구절>
추천사
지은이의 말_채권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다!
13..전 세계 채권시장 규모는 주식시장의 2배 이상이다.
17..시장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수익률이 하락하더라도 좀
더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 수준별 목차 로드맵-p.19
Part 1. 올바른 채권투자의 기초
Chapter 1.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채권에 투자하라
많은 사람들이 금리가 낮음에도 주식변동성은 싫어하기
때문에 예금과 부동산투자에 집착한다.
1. 왜 채권에 투자해야 하나?
30..글로벌 투자적격 채권은 장기적으로 연평균 5~6% 수익을
제공하고 있다.
31..투자기간을 2년으로 연장하면 20년동안 한 차례도 원금
손실을 보지 않았으며, 평균 5%대 수익을 기록한다. 최저 수익률
구간도 예금과 비슷한 수익이 제공되었다.
33..국내 대다수의 투자자는 예금만 주로 하거나, 예금에 만족하지
못해 국내주식에만 주로 투자한다. 변동성 기준으로 보면
양극단에 위치한 자산에만 투자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34..글로벌 시장으로 투자영역을 확대하면 주식과 같이
경기상승에 따른 수혜를 보는 채권자산들도 있다.
36..위험과 수익을 동시에 고려하면, 하이일드채권은
주식보다 우수한 투자자산이다.
2. 채권펀드가 예금보다 좋은 이유
39..채권펀드는 가입한 은행이나 증권사가 파산하
더라도 금액규모와 관계없이 투자금액 전체를
보호받는다.
42..대다수 국내채권펀드의 경우 중도 환매수수료가
별도로 없으며, 별도의 만기도 존재하지 않는다.
3. 채권펀드가 주식보다 좋은 이유
43..채권은 주식대비 기대수익은 낮지만 변동성으로
측정되는 위험도 상대적으로 낮다.
45..S&P500의 최대하락폭은 2008년 -38%인 반면
미국 투자적격채권지수는 고점 대비 최대하락폭이
1994년 -2.9%밖에 되지 않는다.
4. 향후 글로벌시장 환경은 채권투자가 정답이다!
50..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큰 화두는 노령화와 저성장
이다. 노령화가 진행될수록 위험을 회피하는 안정적
투자성향의 투자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2..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중국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글로벌경제 성장은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참고자료 :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을 활용한 자산배분
54..경제환경과 자산배분의 관계 표-참조
Chapter 2 채권투자수익,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채권가격은 시장금리에 영향을 받으며, 채권가격과
시중금리는 반비례관계이다.
1. 채권투자수익, 어떻게 구성되는가?
59..해외채권은 국내채권보다 평균적으로 듀레이션이
길기 때문에, 가격변동 따른 자본손익이 총 투자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국내채권보다 훨씬 더 크다.
2. 금리가 채권가격을 결정한다
3. 금리,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62..모든 종류의 채권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인플레이션과 이에 영향받는 이자율이다.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은 모두 채권가격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63..실질이자율=명목이자율-예상인플레이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화폐가치(구매력)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금융자산 투자보다 실물자산
투자(금,원자재)가 바람직하다
64..채권에 투자하자고 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경제변수는 인플레이션 전망이다
장기적으로 명목시장금리는 인플레이션에 수렴하는
모습을 보인다.
4. 기준금리, 시장금리, 인플레이션은 어떤 관계인가?
67..채권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기 시장금리는
중앙은행이 직접 관리하지 않는다.
68..미국은 장기채권시장이 발달되어 있어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시장금리 역할을 한다.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단기채권위주로 발달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3년 만기 국채
금리를 시장금리라고 한다.
5. 채권가격의 변수와 영향
77..채권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을 때 투자해야 한다.
참고자료 :미국 연준리 정책금리 결정 과정
Chapter 3 채권투자 고수의 길, 신용등급과 가산금리 이해가 열쇠다!
채권의 특징을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채권의
신용등급을 확인하는 것이다
1. 신용등급으로 예상수익과 변동성을 알 수 있다
87..같은 채권이지만 신용등급이 높은 채권과
낮은 채권은 경기에 따른 반응이 정반대로 움직인다
2. 채권의 신용등급은 기업의 부도가능성이다
89..신용등급은 해당 기업 내지 국가가 일정한 기간 내
(1년 단기와 장기간)에 부도가 날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91..BB등급 채권의 향후 5년 내 부도확률은 10%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93..동일한 회사에 대해 국내 신용평가사 등급과
해외 신용평가사의 등급이 2~3단계 차이가 있다.
3. 신용등급으로 채권을 구분할 수 있다
4. 기업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결정된다
97..(개별기업)채권금리=국채 시장금리+가산금리
99..가산금리는 시장의 위험프리미엄으로 시장위험
지표 역할을 하고 있다.
5.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예상수익과 변동성이 커진다
104..신용등급이 높은 채권일수록 국채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일수록
주식과 비슷하게 움직인다.
6. 신용등급에 따라 투자방법이 달라진다
108..경기국면별로 주요 채권의 성과는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Chapter 4 단기채권과 장기채권,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1. 채권만기 전략, 경기상황별로 다르다
113..채권만기를 선택하는 것은 경기상황, 즉 채권금리
전망에 따라 달라진다.
2. 듀레이션은 채권시장의 베타다
114..채권만기와 듀레이션은 비례관계이다
3. 듀레이션을 활용한 채권투자방법
120..경기가 회복국면에 있으면 단기채권을 매수하고
경기침체가 예상되면 장기채권을 매수하라
4. 장기채권은 날카로운 칼이다
5. 신용등급과 듀레이션으로 수익과 변동성을 알 수 있다
Chapter 5 채권투자, 이것만 조심하면 수익이 난다
채권가격이 어떤 요인에 의해 하락하는지, 경기상승기와
경기하락기의 하락요인은 각각 무엇인지, 또한 환율변동
으로 인한 하락요인은 무엇인지
1. 채권투자 시 조심해야 할 사항들
135..채권위험 3가지
-이자율 위험: 시중금리 상승
-신용위험: 부도, 신용등급하락, 유동성, 가산금리 확대 위험.
-통화위험: 환차손익
2. 경기상승 시 가격하락위험-이자율위험
143..해외채권은 투자상품 성격이 더 강하다
3. 경기하락 시 가격하락위험-신용위험
145..기업의 부도율은 신용등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147..개별종목으로 채권에 투자할 때 부도위험은 가장
중요한 체크사항이다
149..투자적격채권 시장규모는 투자부적격채권 시장규모보다
압도적으로 크다.
150..채권시장의 유동성은 매수/매도호가 차이로 측정된다
153..2008년 리먼 사태때는 하이일드채권 각산금리가
국채금리 대비 21%까지 증가했다.
4. 환율변동에 따른 채권투자위험-통화위험
159..환헤징 여부는 투자자 상황, 투자대상 자산, 투자국
경제환경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161..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국가는 지속적으로
통화약세를 보인다.
162..장기성장률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는 경상수지이다
166..이머징국가 채권에 투자한다면 해당 국가의
통화전망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5. 채권위험은 투자기회다
Part 2. 채권을 어떻게 투자할까?
Chapter 6 국내채권 vs 해외채권 세상은 넓고 투자기회는 많다
1. 국내채권과 해외채권의 차이점
177..해외채권은 다양한 신용등급의 채권시장이 존재하므로
모든 경기사이클에 투자가능한 채권이 존재한다.
2. 해외채권, 투자하지 않으면 99% 기회를 놓친다
179..국내주식시장은 글로벌 금융시장과 비교하면 1%가
되지 않는 매우 작은 시장이다.
183..전 세계에서 가장 큰 채권발행자는 미국 재무부이다
3. 해외, 투자가능한 다양한 채권자산이 있다
185..국내 채권시장에서 투기등급 회사채 시장규모는
매우 작고, 유통시장도 발달되어 있지 않다
4. 국내채권과 해외채권, 수익과 변동성이 다르다
189..예금대안을 찾고 있는 대다수의 투자자들은 연5~10%
정도 수익에 변동성은 낮은 자산에 투자하기를 원한다.
5. 국내채권과 해외채권, 투자변수 영향이 다르다
6. 해외채권, 모든 경기상황에 투자할 수 있다
Chapter 7 경기상황에 따른 채권투자 노하우
1. 채권자산별 매수매도 타이밍과 성과분석-p.203 표 참조
2. 경기상황별 시장의 영향
208..경기가 둔해지거나 침체상황으로 가면 가산금리는
급증하게 된다
3. 경기상황별 채권자산의 영향
215..단기국채ETF는 금리인상기임에도 꾸준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자금을 일시적으로 예치하는 역할을 한다
216..투자적격채권은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이자율위험에 노출된다.
하이일드채권은 경기상승 초기 국면에 가장 큰 수익이 났다
(p.217 도표 두가지 참조)
219..현지통화표시 이머징채권은 경기상승기에는 높은
이자수익과 통화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투자대안이다.
4. 경기상황별 채권투자전략-->p221표 참조
Chapter 8 평안함을 추구하는 투자자의 베스트, 투자적격채권
1. 투자적격채권, 투자포트폴리오의 핵심자산 및 방어자산 역할을 한다
2. 투자적격채권, 글로벌국채를 포함하는 가장 큰 채권섹터이다 /
3. 투자적격채권, 주식과 상호보완적 관계다
231..투자기간이 길수록 투자수익률이 증가한다
4. 투자적격채권의 가장 큰 위험, 시중금리 상승이다
5. 투자적격채권, 경기하락기에 투자하라
참고자료 :글로벌 및 미국 투자적격채권 펀드와 ETF
Chapter 9 연 50% 이상 수익을 내는 고수익 채권펀드도 있다
1. 하이일드채권, 경기상승기에 적합한 채권이다
246..리먼 사태이후 하이일드채권 성과는 미국 주식시장
성과의 2배에 육박한다.
2. 하이일드채권, 투자부적격채권이다
249..하이일드채권의 투자타이밍은 경기저점을 통과해
경기회복이 시작될때가 최적이다
3. 하이일드채권 수익, 가산금리에 좌우된다
255..하이일드채권의 가산금리가 경기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256..하이일드 가산금리와 하이일드채권수익은 역의
관계이다.
257..가산금리 수준이 8%이상인 경우는 시장이
시장위험을 과도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하이일드채권을 저점 매수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4. 하이일드채권의 가장 큰 위험, 경기가 하락하는 것이다
258..신용위험은 국채가 아닌 가산금리가 있는
회사채에 발생하는 위험이다.
262..가산금리 확대위험은 개별기업의 위험보다
거시경제의 위험이라고 할 수 있다
5. 하이일드채권과 주식, 상관관계가 높다
265..하이일드채권과 MSCI글로벌주식은 0.7정도의
상관성을 보이며, S&P500지수와는 0.67정도의
상관성을 보인다
6. 하이일드채권 성과와 유가, 상관성이 있다
267..주식과 하이일드채권은 유가Oil price와 상관성이
높다.
참고자료 하이일드 채권펀드와 하이일드채권ETF
270..미국 하이일드시장은 전 세계 하이일드시장의 70%로
규모와 유동성 측면에서 충분히 큰 시장이다
Chapter 10 통화, 잘 다루면 새로운 채권투자 기회가 생긴다
1. 이머징채권별로 주요 변수와 성과가 다르다
현지통화표시채권과 달러표시채권
2. 이머징채권, 발행통화별로 구분된다
281..경기침체기에 가장 큰 손실을 본 채권은 달러표시
이머징회사채이다
3. 이머징채권, 글로벌경제에 영향을 받는다
284..달러표시 이머징채권을 투자할 때는 현재 가산금리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4. 현지통화표시 이머징채권, 통화변수가 가장 중요하다
5. 이머징채권의 가장 큰 위험, 글로벌경제가 하락하는 것이다
6. 이머징채권, 글로벌경제가 상승할 때 투자하라
294..경기회복기에 적합한 투자자산이다
참고자료 이머징채권과 이머징채권펀드
Part 3. 나만의 채권투자 노하우
Chapter 11 나에게 맞는 채권펀드 선택하는 방법
선택기준 01 투자예상수익 : 이자수익을 체크하라
305..장기적으로 채권가격은 액면가격에 수렴하므로
기대수익을 계산할 때는 이자수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선택기준 02 민감도 분석 : 듀레이션과 신용등급을 체크하라
선택기준 03 통화위험 : 환헤징 여부를 체크하라
311..펀드 이자수익이 5%이하일 경우 펀드에서
환헤징이 되어 있는지 체크해봐야 한다
선택기준 04 비용비교 : 보수가 높거나,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는 피하라
선택기준 05 숨어 있는 보수를 찾아라
313..재간접펀드의 피투자펀드 보수이다
318..환헤징을 한 해와채권펀드는 반드시 환헤징 시
비용을 지불했는지, 아니면 프리미엄을 받는 상황인지
판단해야 한다
선택기준 06 성과비교 : 벤치마크와 동종유형으로 비교하라
319..펀드성과만으로는 펀드가 잘 운용되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선택기준 07 투자시장 : 펀드 벤치마크를 확인하라
선택기준 08 변동성 비교 : 펀드위험등급을 확인하라
323..펀드의 예상 변동성은 펀드위험을 통해 대략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선택기준 09 펀드규모 : 사이즈가 급등락하는 펀드는 피하라
325..국내 기관투자자들은 해외채권펀드에 투자하는 경우
최소 3,000억 원 이상은 되어야 투자대상에 포함시킨다.
선택기준 10 펀드종목 수 : 잘 분산투자된 펀드를 선택하라
326..하이일드 채권펀드는 적어도 100종목 이상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되어야 한다.
Chapter 12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경제지표 01 고용보고서; 미국경제 건정성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지표.
-실업률; 경기후행지표
-비농업부문 고용인구; 노동시장의 건전성 판단지표
-비농업부문 주당평균 근무시간
-평균 시간당 임금
경제지표 02 소비자물가지수
335..개별투자자들에게는 자산배분 의사결정을 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지표이다
경제지표 03 ISM제조업구매자지수; 제조업의 경제건전성 지표.
340..몇달간 연속적으로 50이하라면, 경기침체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는 금리하락으로 채권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경제지표 04 생산자물가지수 ; 판매자 관점
342..투자자에게 생산자물가지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소비자물가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경제지표 05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 경기선행 지표이다
Chapter 13 채권은 주식의 미래다
주식은 실물경제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지만, 채권은 주식의
선행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경기선행 지표로 활용하는 채권지표의 종류
-단기채시장->TED스프레드
-국채시장->장단기 국채금리
-회사채시장->하이일드 가산금리
TED스프레드, 단기채로 경제건전성을 알 수 있다
353..TED스프레드 증가는 은행 간 대출에 대한
부도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355..TED스프레드는 빅스VIX지수보다 다소 선행한다
장단기금리 역전현상, 경기침체를 예측한다
365..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인 모든 데이터는 20개월
내에 경기침체에 도달했다.
하이일드 가산금리는 주식시장의 선행지표다
367..동일한 경제상황에서 국채금리와 가산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된다.
370..채권시장 위험지표 주식보다 선행하므로 주식투자
시 반드시 채권시장 위험지표를 체크해야 한다.
Chapter 14 당신도 세계적인 기관에서 경제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FRB : 미국경제를 이끄는 연준리의 경제지표
FRED : 세계 최고의 무료 경제정보처
BLS : 채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노동시장 정보
BEA : 미국 거시경제 정보제공
Trading Economics : 다양한 이머징국가 경제정보 제공
OECD : 주요 국가 거시경제 지표
IMF DATA : 주요 국가 거시경제 지표
ECOS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KOSIS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책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버는 80가지 습관_무천강 (0) | 2020.09.03 |
---|---|
어닝스, 최고의 주식투자 아이디어_김현준,정호성 (0) | 2020.08.23 |
홍대 앞은 왜 홍대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할까_장기민 (2) | 2020.08.05 |
부의 대이동_오건영 (0) | 2020.07.25 |
부동산 투자사이클_김영기,이재범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