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경제

부의 대이동_오건영

**거시경제에 대하여 매우 쉽게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은 생각자체가 명료하다는 의미같습니다.

거시경제 흐름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하지 하는 분들이라면

강추합니다. 저자분의 이전 책인 “앞으로3년 경제전쟁의 미래”와

함께 보신다면 국제 경제의 흐름이 꿰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유튜브에서 검색해보시면 오건영님의 많은 인터뷰가 

있습니다. 하나하나 강의라 해도 무방하니 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일타강사 느낌입니다.

 

*One Action : 포트폴리오 재정비를 고려해보자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거시경제 흐름속에서 달러와 금이 어떤 지위를 갖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거시경제 흐름, 투자전략, 통찰력

-읽은 後 : 거시경제흐름,투자전략, 통찰력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채권투자 핵심노하우(마경환)

 

 

**오건영님의 서술은 이야기식이라 흐름을 따라가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아래는 내용에서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니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어요.

꼭 책 전체를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중요구절>

 

추천의 글_부와 가난의 갈림길에서

 

프롤로그_ 급변하는 시장 속 기회를 찾는 법

9..환율,금리를 비롯하여 매크로 시장 전체를 조망하는 방법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준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11..단순히 오른다 또는 떨어진다라는 방향성에 대한 조언보다는

투자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접근했을때의 효과를 말씀드립니다

 

 

PART 1 기초 지식 편

 

돈의 흐름을 읽는 환율과 금리에 대한 이해

 

환율은 대체 무엇이고, 왜 자꾸 변하는 걸까?

 

환율과 주가, 환율과 부동산의 상관관계

33..실물 경기가 환율에 영향을 많이 주는게 보통이지만, 최근 들어

금융시장 역시 환율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채권, 금리가 오를수록 가격은 떨어지는 이유

**국채가격과 금리와의 관계에 대하여 정말 쉽게 설명하는 부분이

P.44입니다. (참고)

46..국채발행의 증가 역시 국채 투자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뉴스입니다.

 

 

기준금리 변동이 가져오는 나비효과

49..기준금리와 시장금리

50..한국은행은 7일물 RP금리라는 초단기 금리를 기준금리 

유지를 위한 타깃 금리로 정했죠.

52..일반적으로 한국은행이 7일짜리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초단기 금리 하락이 1개월,3개월,6개월,1년, 3년, 10년 금리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면서 이런 중장기 금리들을 잡아 내리곤 합니다.

53..요새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장기국채와

회사채 금리는 오히려 올라가는 ‘디커플링’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57..정부가 재정지출을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리면 민간의 투자가

쫓겨나는 것을 구축효과라 합니다.

 

 

불안함이 만든 추가 금리, 회사채 스프레드

62..국채와 회사채의 금리차이를 회사채 스프레드라고 합니다.

 

 

PART 2 달러 투자 편

 

‘궁극의 안전 자산’ 달러로 포트폴리오를 보호하라

 

달러 강세의 배경에는 금융위기가 있었다

69..어떤 국가나 수출과 내수, 둘 중 하나로 성장해야 합니다.

내수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비가 늘어야 합니다. 소비가

늘려면 소득이 늘어야겠죠. 소득의 증가는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72..MBS를 만드는 원리는,, 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을 한 번 해주면

더 이상 대출을 해줄 수 있는 돈이 없죠. 담보 대출 채권을 모아서

하나의 채권으로 만들어 팔면 현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가격 상승에 상당한 힘을 보탤 수 있습니다 

76..과감한 양적완화를 통해서 소비 경기가 201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바닥을 치기 시작했습니다(미국)

77..전 세계적으로 돈이 많은 만큼 그 자금들이 미국으로 

쏠리게 됩니다.

 

 

달러는 강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81..강세를 만들었던 요인이 계속 유효할 것인가?

-FED의 금리인상

-미국만의 독보적 성장

88..제로금리와 양적완화의 재개, 첫째 요인이 사라졌습니다

92..과도한 재정 적자와 기업 및 가계 부채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더 늘어난 만큼 향후에도 재정 및 기업,가계 부채 증가를

통한 성장부양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94..셰일산업의 위축

97..영원한 달러 강세도, 영원한 달러 약세도 없다

99..달러 강세를 계속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2020년 7월23일 현재, 달러인덱스가 94로 내려왔음

 

 

위안화의 인기는 왜 시들해졌나

100..5~10여 년 전은 위안화가 달러를 대체할 수도 있다는 

중국 낙관론이 힘을 얻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104..한국 원화 가치는 중국 위안화 가치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펀더멘털이 강한 한국 원화의 매력

109..이머징 국가는 경기 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낮추고 돈을

풀어주게 되면 자본유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주식시장도 무너지고

채권 가격도 큰폭으로 하락합니다. 그러면 국채금리가 크게 오릅니다

112..1997년의 외환위기는 국제통화를 쓰지 않는 이머징 

국가들이 겪은 대표적인 위기입니다.

114..한국 내 외환 보유고가 모두 털려나가서 대외 달러 부채 등의

지급이 불가능하다고 선언한 것이 외환위기입니다.

119..지금은 IMF당시의 한국의 상황과는 사뭇 다릅니다. 

글로벌 안전자산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123..달라진 점,,한국의 재정상황은 상대적으로 양호합니다.

99개월 무역흑자를 기록, 외환보유고가 4000억달러로 9위수준입니다.

130..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머징 국채에 투자 할 때 환율 변동이 

얼마나 큰지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137..전 세계적으로 노령화와 함께 저성장기조까지 고착화되는 

분위기입니다. 연금의 규모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넘칩니다.

 

 

‘달러 스마일’로 보는 달러의 미래

141..다른 어떤 자산도 갖지 못하는 ‘달러 스마일’이라는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148..전 세계 대출의 90%가 달러 대출입니다.

149..낮은 금리에 너무 많은 돈이 풀리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자산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게 됩니다. FED는 2006년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156..우리나라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수 세력이

바로 외국인 투자자들입니다.

159..달러는 다른 자산 가치가 하락할 때 가치를 발하는 자산입니다

 

 

위기는 다시 찾아올까?

164..미국의 기업 및 가계 부채는 금융위기 당시 수준보다 

더 크게 증가했죠. 전 세계의 부채도 사상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상황입니다. 

165..경제 전반에 부채 리스크가 이 정도로 강하다면 위기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접근하는 게 필요할 겁니다.

166..한국 국채시장의 안정성이라는 지금의 상황도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168..인구 노령화로 인한 생산 가능 인구수의 감소가 제조업

경쟁력에 타격을 줄 수도 있습니다.

170..현재 한국의 가계 부채는 1800조 원을  넘는다. 

위기상황에서 국채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가계 부채라는 

뇌관이 터질 수 있다.

172..일본은 세계제일의 순채권국입니다.

176..레이 달리오는 선진국이 겪는 위기를 ‘디플레이션 불황’,

이머징 국가들이 겪는 위기를 ‘인플레이션 불황’이라고 분류합니다.

이머징 국가들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달러 패권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

182..달러 패권이 사라지려면 무언가 다른 ‘대안’이 필요합니다.

195..중국 위안화 역시 2015~2016년 위안화 절하로 인한

위기를 겪고 난 이후 달러 패권에 도전하기에는 상당한

갭이 있어 보입니다.

 

 

 

PART 3 금 투자 편

 

초저금리의 장기화, ‘황금의 시대’가 돌아왔다

 

금은 안전 자산인가?

206..주식시장이 급락할 때 금 가격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08..궁극의 안전자산은 달러화입니다.

209..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궁극의 위기 국면에서 금 가격이 

급락할 때 달러 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유가 전쟁으로 보는 ‘원자재 금’의 특성

216..금은 세가지 특성을 갖습니다

-원자재로서의 특성

-귀금속으로서의 특성

-실물화폐로서의 특성

218..금과 원유 가격이 상당히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32..장기 저유가의 개연성이 높습니다.

 

 

시장을 움직이는 실물 화폐, 금의 비밀

239..지금은 금본위 화폐제도를 적용하지 않고 있죠. 대신에

국가가 해당 국가의 신용을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240..종이 화폐의 대척점에 존재하는 자산을 실물화폐라 

부를 수 있습니다

257..실물화폐로서의 금을 볼때에는 과거 금과 경쟁을 했던

달러화의 가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65..2020년 3월 당시, 금 가격 역시 힘을 쓰지 못하고

한 차례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280..미국 금리 인하는 달러 공급의 확대를, 달러 공급의 확대는

달러 가치의 하락을 의미하죠

 

 

달러의 손에 달린 금의 향방

288..부채 해결의 세 가지 방법

-긴축; 거대한 빚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채무 면제; 채권자들인 은행마저 파산이 가능하다

-금리를 낮춰주기; 부채 부담이 감소한다

293..국가 부채가 상당한 만큼 그 부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본은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제로 금리를 도입했습니다

294..유로존은 2014년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과감한 경기 부양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96..부채를 녹여버리는 인플레이션의 마법

301..적어도 가까운 미래에는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저금리의 

장기화와 양적완화와 같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의 상시화가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303..거대한 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다 많은 종이 

화폐의 공급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다면 중장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봅니다

 **금에 관한 설명에서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습니다. 기존에는

금은 당연히 안전자산으로 생각하고 현상을 보았습니다.

안전자산이라는 믿음하에 지표도 살펴보고 과거 사례도 찾아보고

했었는데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데이터를 만나니 당황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오건영 작가님의 설명에 고개를 끄덕끄덕하게 되네요

달러화의 관계하에 금 투자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습니다.

 

 

PART 4 최종 정리 편

 

위기에 강한 자산에 투자하라

 

글로벌 경기 침체 시나리오

313..미국 경기회복->FED금리 인상->달러 강세->이머징 부채부담 증가

& 수입물가 하락 & 미국 수출 위축->디플레이션 및 경기 둔화압력 확대

->금리 인상 포기->달러 약세->미국 경기 회복->….반복

319..달러 강세가 이어지게 되면 이머징의 부담은 계속

될 것입니다.

322..2019년 하반기부터 나타나고 있는 달러와 금의 

동반 강세가 이어진다면 ‘금>달러>>>이머징 국가 통화’라는

구도가 강화될 것입니다.

324..미국 가계 부채가 한계에 도달했을 때 터졌던 사건이

금융위기였다는 점을 알면 이런 식의 부채 증가가 현재

속도로 계속해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329..코로나 이후 제로금리 및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이

도입되면서 가능한 시나리오가,,1970년대와 같은 바람직 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입니다. 주식과 채권 시장, 달러 모두 힘듭니다. 이 때

대안이 ‘금’이 될 것입니다.

 

 

글로벌 경제 성장 시나리오

333..무역전쟁이 해소된다면 이머징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달러 강세가 풀리고 이머징 국가들은 강한 경기부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341..긍정적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면 어떤 투자가 효과

적일까요? 달러 약세가 가능하니 금 가격은 강세가 가능합니다.

2017년 이후 부진했던 한국을 비롯한 이머징 국가의 주식시장이

강한 흐름을 나타낼 수 있겠습니다.

 

 

에필로그_ 두 가지 질문

344..금 투자하는 방법; 금ETF, 금펀드, 실물금매입, 금통장

348..앞으로는 시장 급변 상황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있을 때마다 화폐공급을 늘리고 부채를 늘려가는 해결이라

그렇습니다. 작은 충격에도 금융시장이 매우 크게 흔들릴 수 있으니

금과 달러로 포트폴리오를 튼튼하게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