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경제

앞으로3년 경제전쟁의 미래_오건영

*One Action : 금융현상을 볼 때 환율과 금리 두개의 키워드를 기억하자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환율과 금리를 통하여 금융현상을 이해할 수 있음.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인사이트, 실용적 관점, 공부의 필요성

-읽은 後 : 인사이트, 실용적 관점, 공부의 필요성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빅히트

 

 

<중요구절>

 

서문

5..가장 중요하다고 느껴왔던 금융 시장의 두 가지 변수인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이런 시기들을 읽어내고자 했습니다.

7..금리는 (대내적)돈의 값, 환율은 (대외적)돈의 값)이다.

 

 

1장 일본의 추락

 

일본 편 1 일본 버블 형성

인플레이션 시대의 종언

미국의 쌍둥이 적자 확대

플라자 합의

루브르 합의

블랙 먼데이

일본 버블 형성 과정에 대한 정리

20..일본 경제를 버블로 이끈 원인으로 1985년 9월에 있었던 플라자 합의를

꼽는 데는 큰 반론이 없을 듯 합니다.

1987년 2월의 루브르합의.

22..1980년대 초반에 Fed의장으로 취임한 이후 폴 볼커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23..당시 미국 중소기업 40%이상이 도산을 했다.

27..재정적자와 무역적자가 함께 심각해지는 상황을 쌍둥이 적자라고 한다.

28..플라자 합의로 엔화환율을 큰 폭으로 낮추게 됩니다.

32..문제는 엔화가 두 배로 절상되었음에도 일본의 대미 무역 흑자가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루브르 합의.

33..일본은 당시 내수부양을 위한 각종 대책을 도입합니다. 부동산 경기부양도

그 중 하나였다. 

34..1980년대 후반 부동산 버블이 극에 달합니다.

40..미국에서 1987년 블랙먼데가 있었고, 서독과 일본은 금리인상을 포기하게 됩니다.

43..결국 부동산 버블을 용인할 수 밖에 없었다.

 

 

일본 편 2 일본 버블과 그 이후의 흐름

일본 정책 당국의 실책 1_ 과도한 금리 인상

일본 정책 당국의 실책 2_ 자산 가격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진입 방조

일본 정책 당국의 실책 3_ 실효성 낮은 경기부양책

일본 버블 붕괴의 교훈

한국은 일본과 같은 길을 걸을 것이다?

버블 붕괴 이후의 일본 1_ 고베 대지진과 역플라자 합의

버블 붕괴 이후의 일본 2_ 동일본 대지진과 무제한 양적완화

버블 붕괴 이후의 일본 3_ 인플레이션 유도 정책의 효과

49..1989년에 시작된 일본 중앙금리 인상은 2.5%에서 빠르게 6%까지 

이루어집니다.

59..과도한 부동산 버블이 나타나지 않도록 사전에 최대한 조절하려는

한국 정책당국의 LTV,DTI규제 등.

63..고베대지진, 버블 붕괴 이후 일본 경제는 엔고의 파고속에서 나락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1995년 4월 역플라자합의.

64..한국은 당시 투자과잉상태였는데, 엔화의 약세로 인하여 기업이 도산하게

됩니다. 이어서 1997년 12월 외환위기.

74..노령인구가 많아서 과감한 인플레이션 정책을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2장 IMF 외환위기와 한국 경제 체질 변화

 

한국 편 1 IMF 외환위기는 한국에 어떤 상처를 주었을까?

외환위기의 진행 과정

기업과 은행의 변화

지속적인 금리 하락과 가계 부채 급증

84..외환보유고의 한계로 외환위기를 맞습니다. IMF에게 긴급대출을 받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받게 됩니다.

86..외환위기의 핵심 원인은 결국 과도했던 기업 대출에 있었습니다.

88..이후 은행들은 활로를 가계대출로 찾았습니다. 부동산담보대출,가계대출의

급증을 가져옵니다.

90..2019년 현재 한국 가계 부채 총량은 1,600조원을 넘습니다. 금리가 1%만

올라도 이자부담이 16조원이 증가합니다.

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한국 편 2 가계 부채발 한국 경제 10년 주기 위기설

‘10년 주기 위기설’의 등장 배경

95..원화가치가 하가한다는 얘기는 수입 물가가 급등하다는 것을 뜻한다.

99..리만 파산 이후 은행들은 자산들을 매각하기 시작합니다. 한국 금융 시장

에서의 비자발적 외국인 자본 이탈이 만들어집니다.

 

한국 경제가 과거와 달라진 점 1_ 대외적 변화

102..경제 기초 체력이 약한 이머징 국가들이 글로벌 위기 상황에서

자본 유출 같은 위기를 겪는 경우들을 막기 위해 글로벌 국가공동체인

G20에서 고안한 것이 글로벌 금융 안전망”입니다.

 

한국 경제가 과거와 달라진 점 2_ 대내적 변화

109..한국 국채의 위상이 바뀌었다.

116..2015~2019년 상반기까지 보면, 환율과 금리가 데칼코마니처럼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117..위기시 자본 유출도 생기지만 국채로 자본이 유입되면서 다른 이머징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 금융위기가 찾아오면?

 

 

한국 편 3 한국 부동산 시장을 보는 눈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한국의 상황

고환율 정책과 부동산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안정화 대책의 배경

123..부동산 가격은 경기보다 금리나 부동산대출에 영향을 더 크게 받는듯하다.

126..어느 나라나 성장을 원합니다. 수출은 고환율 정책으로, 내수는 저금리

정책을 채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책 조합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겁니다.

136..상당 기간 무역흑자를 이어온 국가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은 듯합니다.

 

 

한국 편 4 한국 환율과 금리에 대한 기본적 시각

달러-원 환율 전망 1_ 원화 강세(환율 하락)의 근거

달러-원 환율 전망 2_ 원화 약세(환율 상승)의 근거

달러-원 환율과 금리에 대한 종합적 전망

149..2000년대 들어 중국 위안화가 한국 경제에 주는 영향은 일본 엔화보다

강한 듯합니다.

153..달러-원 환율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때마다 

어김없이 뛰는 경향이 있다.

154..환율 하락 요인과 상승요인이 모두 공존하고 있는데, 어느 한 쪽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면 환율은 그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156..향후 환율이 꾸준한 하락세를 나타낼 것이다. 그 이유는.

미국 성장이 계속되지 않을 것, 금리인상이 끝났다, 중국의 내수부양으로

인한 위안화 절상방향,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부족하다.

 

 

 

3장 유럽 재정위기

유럽 편 1 유로화, 유로존 사태의 근원

유로존의 탄생과 마법

왜 그리스를 쫓아내지 못하는가?

165..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의 동맹은 EMU(E Monetary U).

영국은 유로화를 사용하지 않고 파운드화를 사용합니다.

166..유로화의 위상에 치명적 타격을 준 것이 유럽 재정위기다.

167..국력이 가장 강한 1위국 독일부터 가장 약한 17위국 그리스까지

모여서 유로화를 사용한다.

168..독일은 수출을 중심으로 상당한 성장을 일구어냈다. 반대로 그리스는

수출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169..유로화 블록 내의 국가들에 대해선 독일의 도움이 암묵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이 생겨난다.

173..그리스 등 유로존 국가들의 파산 문제가 안정되면서 2018년 무렵부터

유로존 국가들의 국채 금리는 비슷한 수준으로 모이게 됩니다.

174..독일은 그리스의 지원에 대해 명확하게 선을 긋고 나섰다.

그리스를 유로존에서 내보내는 것도, 독일이 유로존을 떠나는 것도 어려운

옵션이다.

 

 

유럽 편 2 유로존 위기의 해결 과정

부채위기를 해결하는 방법

유로존은 왜 긴축을 선택했나?

182..부채해결 방법은, 열심히 벌어서 갚는 법, 디폴트 선언하기, 금리낮춰서

지금대로 가기, 화폐발행으로 실질가치 하락시키기.

187..Fed는 금리를 0로 내리고 양적완화를 해서 금융위기를 벗어납니다.

188..유로존의 대응은 달랐습니다.

193..2011년 상반기 ECB는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합니다. 회복이 덜 된

상황에서 유럽 경기에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196..미국식 처방이 보다 우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거죠. 문제가

생길 때마다 금리는 더욱 낮추고, 돈은 마구 찍어 뿌리고, 재정지출은 마구 

늘리는 게 답이라는 일종의 포풀리즘 주장도 나온다. 

 

 

 

4장 중국의 부채위기

 

중국 편 1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중국 부채 문제의 기원

중국 부채위기의 배경

중국 주식 시장, 버블의 서막

중국 주식 버블 붕괴와 기습적인 위안화 절하

203..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중반에는 위안화 절상이라는 말이

상식처럼 통했습니다.

206..중국 당국은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를 크게 늘려나가기 시작합니다.

조선,철강, 화학 등의 중화학공업과 같은 굴뚝 산업 쪽으로 어마어마한

투자가 들어갑니다.

208..중국의 부채 증가율은 성장률 대비 항상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9..2005년 160% 수준이었던 중국의 GDP대비 부채비율은 2017~2018년에

약260% 수준으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210..부채의 생산성이 낮아지면 일정 수준의 재화 생산을 위해 투입되어야

할 부채가 더욱 많아지겠죠.

217..무엇이든지 시장 원리에 따르지 않고 인위적으로 조정하려다보면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220..중국 당국은 2015년 8월11일 전격적으로 위안화 절하를 기습 단행합니다.

224..2015년,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위안화 절하로 미국 경제를 흔들 수도

있는 것으로 봅니다. 미국 증시 하락.

 

 

중국 편 2 중국 부채위기의 봉합

불가능한 삼위일체

중국이 처한 트릴레마

자본 통제와 국제 공조

232..'불가능한 삼위일체’는 자유로운 자본 이동, 독립적인 통화정책, 안정적인

환율의 새가지 중 두가지만 가질 수 있다는 얘기다.

235..2018년에 홍콩은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고 있음에도 금리를 인상했다.

미국이 금리인상중이었기 때문이다.

 

 

 

5장 미국 및 글로벌 금융 시장의 흐름과 미래

 

미국 및 글로벌 편 1 미국 금리 인상과 달러 강세, 죽음에 이르는 병

달러 약세와 달러 빚의 증가

달러 강세의 그늘

254..Fed는 한 번 금리 인상을 시작하면 여러 차례 금리를 밀어 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259..달러강세로 이머징 국가들의 실질 부채 부담은 확대되었다.

260..원유의 결제 통화가 달러이기 때문에 달러화는 언제든지 안정적인

수요를 갖게됩니다. 달러화 패권.

262..세계 경제가 저성장이라 해도, 각 국가들은 자기만큼 예전보다 더 

많이 먹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환율전쟁이 시작됩니다. 일본과 유럽이 시작.

265..일본과 유럽 등 G20 국가들은 자국 통화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춰서

수출 경기를 부양하는 환율 전쟁을 최대한 자제하자고 합의했습니다.

 

 

미국 및 글로벌 편 2 달러 패권의 역사

달러 vs. 페트로 달러

달러 vs. 엔화

달러 vs. 유로화 & 위안화

270..1970년, 중동의 산유국들이 OPEC이라는 카르텔을 중심으로 원유의 

공급을 좌지우지하게 됩니다.

272..2007~2008년 서브프라임발 금융위기 직전 시중에는 달러 유동성

공급이 엄청났습니다. 

273..달러 유동성 증가는 달러 약세를 유발했고, 국제유가는 그러한 달러

약세에 기반을 두고 하늘 높이 치솟기 시작했습니다.

배럴당 145달러까지 상승합니다.

277..위안화, 2005년부터 10년 동안 절상되어 왔습니다.

280..5년,10년을 보면 달러화가 다시금 그 위상을 드러내는 시기가 반복적으로

찾아올 거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미국 및 글로벌 편 3 2017년, 달러 약세 공조와 화려한 성장

글로벌 금융 시장을 보는 두 개의 축, 성장과 금리

성장과 금리의 프레임으로 본 2017년의 강세장

283..’성장’은 기대되는 투자수익률과 같습니다. ‘금리’는 투자금에 적용되는 

대출금리라 생각하면 됩니다.

286..금융위기 이전보다 글로벌 경제의 기초 체력은 상당히 약해졌습니다.

 

 

미국 및 글로벌 편 4 2018년, 무역 전쟁 및 달라진 Fed

공조의 균열과 무역 전쟁

미국의 몽니

Fed 금리 인상과 주식 시장 붕괴

296..미국의 성장이 이머징 국가들로 넘어오게 되는 연결고리를 트럼프 

대통령이 차단해버립니다.

299..중국은 부채를 줄이고 부가가치는 높은 IT산업 육성에 집중하려 합니다.

308..중국 사람들의 소득이 크게 늘지 않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많은 

미국 물건을 사주려면 빚을 늘리는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및 글로벌 편 5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 낙관론의 근거

Fed & 트럼프 행정부의 극적인 스탠스 전환

향후 금융 시장의 전망 1_ 낙관론적 견해

향후 금융 시장의 전망 2_ 비관론적 견해

향후 금융 시장의 전망 3_ 종합

324..낙관론적인 견해에서,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는 것은 미국만의

이기적인 성장만으론 부족합니다.

331..비관론, 미중 무역 분쟁이 재차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다시금 수면위로 부상합니다.

 

 

에필로그 : 그래서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340..Fed의 금리인하와 이머징 국가들의 성장 두가지를 바탕으로.

국채투자, 금(달러가치 하락,금리인하 사이클),눌려있던 중국의 주식 시장,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주식들.  

 

마치며

 

부록 : 환율과 금리의 기초

360.자본주의 경제에서 결국 자금의 공급은 간접금융으로 대변되는 은행과

직접금융으로 대변되는 채권시장에서 이루어집니다.

채권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돈의 값을 시장금리라 합니다.

378..시장 원리를 거스르는 환율개입은 상당히 많은 부작용을 낳습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