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인사이트

통섭과 투자_마이클 모부신

*One Action : 최대한 정보를 긁어모아서 이해하기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어떤 것을 제대로 이해한다는 의미와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통찰력을 키우는 법, 메타인지, 과정의 중요성

-읽은 後 : 통찰력을 키우는법, 메타인지, 투자자의 자세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통섭(최재천)

 

 

 

<내용>

 

추천의 말_홍춘욱

 

머리말

18..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통섭적 관점이 필수라고 생각한다.

19..다양한 분야를 조금씩 아는 전문가들이, 한 분야만 깊이 아는 

전문가들보다 예측 결과가 좋았다.

20..각 분야에서 주요 아이디어 몇가지만 익히면 된다는 점은 다행이다.

21..이 책이 다루는 주제: 투자 철학, 투자 심리, 혁신 및 경쟁 전략, 

과학과 복잡계 이론.

 

 

1부. 투자철학

들어가는 글

25..의사결정 방법과 직결되기 때문에 투자철학은 중요하다.

투자철학에서 실제로 중요한 것은 지능이 아니라 기질이다.

 

훌륭한 투자철학의 공통점

-단기 실적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집중한다

-장기적 관점이 중요하다. 과정을 뒷받침하는 토대도 확고해야 한다

-확률적 기법에 통달해야 한다. 인간의 두뇌는 확률적 사고를 가로막는다.

 

 

1장. 카지노 주인이 되라: 투자 과정과 투자 결과

28..철저한 계산을 바탕으로 가장 유리한 쪽에 돈을 걸었다면, 실제로

돈을 따든 잃든 이미 돈을 번 셈이다_데이비드 스클랜스키

29..길게보면 과정이 결과를 압도한다.

30..기업의 주가와 기댓값 사이의 괴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가격과 가치의 괴리를 이야기하는 것인가?

 

31..우승마가 아니라, 우승 확률과 배당률 사이의 괴리를 찾아내야 한다.

 

로버트 루빈의 의사결정 4원칙

-세상에 확실한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확실한 사실이다.

-의사결정은 곧 확률 평가다. 다만,손익분포가 편향되어 있는 경우

-불확실하더라도 선택해야 한다

-의사결정을 하려면, 결과는 물론 과정도 보아야 한다.

 

 

2장. 투자 전문가로서의 사명감과 자산운용사의 이익

39..승자 펀드의 특징-포트폴리오 회전율이 낮다. 집중도도 높고, 가치투자기법을 사용함

41..포트 폴리오 구성이 좋았기 때문이 아니라 투자 과정이

훌륭했기 때문에 성공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3장. 베이브 루스 효과: 기댓값의 빈도와 크기

46..핵심은 적중률이 아니라, 적중했을 때 이익의 크기이다.

47..대가들이 기댓값을 강조하는 것은 어느 분야에서나 확률의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댓값은 인간의 본성에 정면으로 

거스르는 사고방식이어서 익히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좌우하는 것은 초과수익 종목의 비중이 

아니라 초과 수익 금액이다.

49..투자자들은 확률을 뛰어넘어 기댓값을 생각해야 한다. 

50..예상 손익과 확률을 찾아내는 일은 쉽지 않다. 손실 회피성향도

극복할 수 있다.

51..대가들의 공통점

-특정 게임에 집중적으로 파고들어 세세한 내용까지 익힌다.

-대부분 자신의 능력 범위를 고수한다.

-정보를 많이 수집해야 한다.

-괜찮아 보이는 상황에서도 매매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기댓값이 불리하면 돈을 걸지 않는다.

 

 

4장. 확고한 이론이 되려면: 상황 기반 분류

54..실제로 싼지 비싼지는 상황에 좌우된다.

55..1단계 목표는 다른 사람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어떤 현상을

세심하게 관찰,서술,측정하는 것이다.

56..현상들을 분류하면 명확하게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

57..잘 분류된 이론은 인과관계를 잘 설명하며, 반드시 반증도 가능하다.

경제분야에서는 반증 가능한 이론을 구축하기가 어렵다. 

CAPM모형은 이미 시장이 효율적이라 가정한다.

59..전체 맥락을 반영할 때 이론이 확고해진다. 

 

 

5장. 위험을 다루는 사업: 위험, 불확실성, 그리고 예측

62..위험은 객관적 확률이고, 불확실성은 주관적 확률이다.

63..주식시장의 장기 수익률 예측은 최근 경험이 강하게 반영되는

확신도 기반 확률에 해당한다. 확신도에는 상당한 심리 요소가 포함된다.

64..주가변동은 실제로 정규분포가 아니다.

66..어떤 종목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해 매수하기 시작하면, 이 과정에서

주가가 상승해 기대수익률이 하락한다. 

 

 

6장. 전문가는 다를까?: 전문가들의 실제 능력

69..전문가 소견이 일반인 수준에도 못 미쳐서 참고할 가치가 없는 영역도 있다.

70..환원편향은 비선형 복잡계를 선형 단순계처럼 다루려는 경향이다.

71..환원편향을 줄이려면 다양한 사례를 탐색해 전체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원칙에 기반하고 자유도가 낮은 영역; 대개 컴퓨터가 더 낮은 비용으로 더 잘해낸다

-원칙에 기반하고 자유도가 높은 영역; 전문가가 능력을 가장 잘 발휘하는 영역이다.

-확률에 기반하고 자유도가 낮은 영역; 전문가들의 판단 일치도가 낮아진다.

-확률에 기반하고 자유도가 높은 영역; 전문가가 확실히 집단적 판단을 따라가지

못한다. 전문가들의 견해가 정반대로 나뉜다.

 

73..상대적으로 괜찮게 예측한 전문가, 관건은 사고방식이다. 여러분야를

조금씩 알고, 유연한 임기응변 방식을 선호하고, 자신의 예측력을 과신하지 않는다.

 

 

7장. 연속 성공 현상: 연속 성공 기량과 확률

76..인간은 본능적으로 패턴을 찾으려 한다.

 

 

8장. 시간은 우리 편: 근시안적 손실 회피와 포트폴리오 회전율

현실적으로 손실을 회피할 방법은 없다. 하지만 평가 주기는 정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_ “근시안적 손실회피와 주식 프리미엄 문제”

 

85..금융 분야의 커다란 수수께끼 하나는 주식 수익률이 채권 수익률보다

훨씬 높은 현상이다

86..효용이 플러스가 되려면 우리의 손실 회피성향 탓에 보유기간이

1년에 육박해야 한다.

89..근시안적 손실 회피탓에 회전율이 높아진다.

 

 

9장. 경영진 평가

93..장기적으로는 경영진이 회사의 실적과 주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쉽다. 세가지 자질로는,,

-끊임없는 학습욕구

-현장을 방문해 고객의 대답에 귀 기울이는 것

-조직 구성원 누구나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것

-단순 명쾌하게 비전을 소통하는 것, 똑같은 메시지를 거듭 전달해야 한다.

-자신감과 겸손사이에서 균형을 유지

 

98..자본배분이 중요하다.

 

 

2부. 투자 심리

들어가는 글

103..도박계의 전설인 퍼기 피어슨의 원칙3; 승률60%, 자금관리, 주제파악

104..시장을 이해하려면 집단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개인적 의사결정 과정을 개선하는 일도 중요하다.

인간은 연역처리를 제대로 못한다. 

 

 

10장. 아침부터 몰려오는 스트레스

106..인류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받은 스트레스는 대부분 단기 신체적

스트레스였다. 문제는 심리적 스트레스에도 똑같이 생리적으로 반응한다는 점이다.

107..사람들은 새로운 변화에 의해 예측력과 통제력을 상실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

109..펀드매니저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기 실적에 집중하기 쉽다.

111..답은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11장. 타파웨어 파티: 타파웨어 파티가 투자자에게 주는 교훈

117..투자심리

-자신이 선택한 말이 우승할 거라는 확신이 더 커진다

-보유 종목을 동료에게 권유하거나 공개적으로 추천했다면 의견을

번복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일관성 원칙을 완화하는 방법 하나는 세상을 확률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희귀한 정보를 원한다.

 

 

12장. 준비 완료!: 감정과 의사결정

실제로 우리가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120..뇌에 손상을 입어 감정을 느낄 수 없게 되자, 일상적인 의사결정

능력마저 상실했다.

122..직관체계와 추론체계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추론체계(이성)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려면 직관 체계(감정)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123..사람들은 감정적 편향 탓에 손실을 심하게 회피할 수 있다.

손익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부족하면 ‘확률’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손익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충분하면 ‘손익’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124..투자의 대가들은 이런 감정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125..주식시장은 비선형인 동시에 비정상이다. 주식의 기댓값을 평가할 때

감정에 휘둘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13장. 구피의 짝짓기: 모방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

128..투자 역시 본질적으로 사회활동이므로 모방이 큰 영향을 미친다

129..다른 분산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금융시장도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이 균형을 이룰 때 원활하게 돌아간다.

132..기업의 주가와 펀더멘털 사이에 긍정적 피드백이 작동하면

주가 폭등과 폭락이 발생할 수 있다. 소로스는 이 추세를 이용해서 매수하거나

공매도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133..증권회사 애널리스트들의 매수.매도 의견은 다른 애널리스트의

의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단기적으로 긍정적 피드백이 시장을 지배할 수 있다.

 

 

14장. 행동재무학을 경계하라: 행동재무학 오용의 위험성

136..개인들이 비합리적일 때도 시장은 여전히 합리적일 수 있다.

문제는 개인들이 같은 시점에 같은 방향으로 비합리적이 되는가?다

139..개별 학생의 추측치보다 전체의 추측치 평균이 거의 예외없이

더 정확했다. 인간의 행동은 비합리적이지만, 관건은 ‘다양성이 확보되어

효율성이 나오는가?’다.

다양성이 유지되는지 살펴보면 시장이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140..역발상투자를 하려면 소수가 아니라 다수가 저지르는 오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15장. 케인스 가라사대: 대중이 예상하는 ‘대중의 견해’는?

142..현실세계에서는 연역과정을 제대로 실행하기가 어렵다.

145..전략이 다양하면 귀납법으로도 연역법과 비슷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147..후견지명 편향을 막기위해서 결정당시에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

기록해두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나중에 기록을 바탕으로 당시 결정을 

객관적으로 반성할 수 있다.

 

 

16장. 자연주의적 의사결정

직관은 선천적 자질이 아니라 기량이다

149..복잡한 상황에서 소방관들이 의사결정하는 방식,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만족스러운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고나서, 다음 아이디어를 찾는 식이다.

153..사실에 기초한 스토리 구성이 투자 결정에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기법을 변경한다

의사결정 과정을 단순화한다

155..자연주의적 의사결정은 환경이 복잡할 때 적합하다. 문제가 단순할 때는

대개 전통적인 의사결정 기법이 더 효과적이다.

일반 개인보다 다양한 개인으로 구성된 집단이 복잡한 문제를 대체로

더 잘 해결한다.

 

 

17장. 중요도 평가

157..독점 정보의 가치,,정보의 중요도 평가, 표본추출의 문제, 실제 초과수익 가부

158..사람들은 증거의 ‘중요도'보다 ‘강도’를 훨씬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160..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모집단도 많다.

162..관건은 ‘그 정보가 주가에 이미 반영되었는가?’다.

 

 

3부. 혁신과 경쟁 전략

들어가는 글

168..혁신의 누적 효과를 주의 깊게 살피지 않으면 작은 변화를 감지하지

못해, 이전부터 좋아하는 기업에 계속 투자하게 된다.

169..새로운 산업이 출현할 때는 좋고 나쁜 전략을 구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수많은 실패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다.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가는 필수과정으로 보는 것이 좋겠다.

 

 

18장. 라이트 형제의 혁신: 혁신이 불가피한 이유

모든 혁신은 과거의 조각으로부터 만들어진다_앤드류 하가든

171..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기는 이미 알려진 아이디어와 기술을

재조합한 작품이다.

173..100년전에는 ‘물적 자원을 어떻게 통제하는가’가 부의 원천을 좌우했지만,

오늘날에는 원자재를 다루는 아이디어와 기술이 부를 창조하는 엔진이다.

175..혁신은 아이디어 조각을 재구성하는 것이므로 이 조각이 많을수록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더 많아진다.

179..디지털 언어의 유연성 덕분에 이전과는 판이하게 아이디어 조각을

찾아내고 다룰 수 있다.

**디지털 언어는 유연하지만 그것을 독점하는 플랫폼 기업들로 인해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릴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모든 것이 데이터화하는 

요즘에 그 데이터를 소유한 기업은 소수이고 그것을 다룰 인력도

해당 기업에 편중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페이스북 등

 

 

19장. 더 나은 성과를 위한 가지치기: 두뇌 발달 과정과 비슷한 혁신

183..여러 대안에서 출발해 가장 유용한 것만 남기는 방법은 아주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가장 탄탄한 전략임이 증명되었다.

186..거품 형성과 붕괴 패턴이 특별할 것도 없다. 장래에도 똑같은

모습이 반복될 것이다.

187..실패와 낭비를 밟고서야 혁신으로 나아갈 수 있다.

188..현명한 투자자라면 가지치기 과정을 마치고 살아남을 기업들을

탐색해야 한다.

 

 

20장. 변화에 앞서 나가기: 창조적 파괴와 기댓값 연결하기

191..투자할 때 혁신만 고려하면 곤란하고, 시장이 혁신을 어떻게 반영하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193..최근에 좋은 성과를 보인 주식은 투자자의 머릿속에 강하게 남는다.

그 결과 투자가 어려워지면 과거에 많이 상승했던 종목을 다시 찾는다.

**내 얘기라 뜨끔했습니다. 기준이 흔들리면 눈에 보이는 것에 현혹되는

것 같습니다. 기준을 계속 업그레이드하면서 고수해야합니다.

 

195..초과수익을 가져다주는 기업들도 ‘영구 보유 주식 포트폴리오의

임시 구성 종목’일 뿐이다.

197..주가는 기대를 반영하므로 투자자들은 혁신의 역동성 뿐 아니라

시장의 기대치도 파악해야 한다.

 

 

21장. 당신의 포트폴리오에는 초파리 같은 종목이 있습니까?

: 산업의 가속적 변화가 투자자들에게 던지는 시사점

199..비즈니스 세계에서 진화가 빨라지는 추세의 의미는- 가치 평가,

회전율, 분산투자와 관련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3..PER처럼 과거 데이터를 사용하는 상대 가치법의 유용성이

줄어든다. 

DCF모형도 장기간을 가정하므로 가정이 들어맞지 않는다.

 

 

22장. 승리의 비결: 장기 전망과 단기 전망 사이의 균형

복수대안을 마련해야 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_존 홀랜드

210..복잡한 전략보다는 '큰 방향만 제시하는, 단순하지만 엄격한 규칙

몇 개만 채택하는 편이 낫다.

 

 

23장. 적자생존: 적합성 지형과 경쟁우위

변화에 가장 적합한 종이 살아남는다_찰스 다윈

213..장기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단기적으로 성적이 떨어지는 

것도 감수해야 한다.

215..적합성 지형: 기업은 두가지 질문이 필요함-어떤 유형의 적합성 지형에

처했는가?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옳은 전략을 추구하는가?

217..기업의 적합성 지형에 따라 정단기 점프 간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218..적합성 지형에 따라 재무 분석 기법과 구조도 달라져야 한다.

 

 

24장. 현재 상황이 미래에도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큰코다친다

: PER 평균을 쓰는 어리석음

222..PER가 비정상적인 이유-인플레이션, 무형자산의 비중증가, 주식 위험

프리미엄의 변동이다.

226..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려는 심리가 수시로 바뀌는 탓에

PER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25장. 쓰러졌는데 일어설 수 없어요: 평균회귀와 턴어라운드

229..기업의 내재가치는 기대되는 성장률 및 이익과 함수 관계다.

성장률을 논하기 전에 이익의 수준이 적정한지 먼저 파악해야 한다.

230..시간이 갈수록 기업의 이익은 자본비용에 수렴한다.

232..주가는 기댓값을 반영하기 때문에, 투자에 장기적으로 성공하려면

기댓값을 잘 예측해야 한다.

 

 

26장. 참호전을 벌이면서 적과 협력한 사례

: 게임 이론을 통해 협력과 경쟁 관계 파악하기

237..게임이론은 참가자들이 각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연구한 것이다.

239..기업들은 사실상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끊임없이 지속한다.

협력이 진전될 가능성이 커진다.

 

 

27장. 성장에 대한 지나친 기대

: 기업의 성장 한계에 대해

245..투자자들은 이 복리의 마술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248..과거가 미래를 암시한다면, 많은 기업이 내세우는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어야 한다.

249..성장 기대치가 높은 기업들을 찾아내는 체계적 방법은 없다. 이 점에서

매력적인 투자 기회는 존재한다.

 

 

4부. 과학과 복잡계 이론

들어가는 글

256..표준금융이론 모형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나 현실 세계는

그렇지 않다.

257..시장을 연구할 때는 전통적인 비례의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28장. 다각도로 검토하라

: 성공 투자를 위한 조직화에 대한 고찰

260..다양성이 문제 해결에 얼마나 크게 기여하고, 다양성 부족이

어떤 비효율을 낳는지 설명하려고 한다.

262..개미들은 본능적으로 다양성을 찾는 것이다.

263..주식시장과 같은 복잡계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여러 전략을 구상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곳에서 정보를 얻어야 한다.

-아이디어의 다양성을 추구하되 현재 주어진 목표에 유용한 것만 선택한다.

 

 

29장. 허니에서 머니까지

: 집단의 지혜와 변덕

267..분산된 개별주체가 집단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를 풀어낸다.

272..주가는 투자자들이 이질적일 때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시장이 아주 똑똑한 것은 부분적 정보들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30장. 여론: 집단의 힘을 문제 해결과 예측에 활용하기

지식이 완전하지 않은 개인들이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해답을

찾는 과정을 밝혀내야 한다_프리드리히 하이에크

274..투자자들은 두 가지 이유로 군중의 정확성에 주목해야 한다

-효율적인 시장은 정보의 취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집단에 내재된 정보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다.

278..작은 집단이라도 개인보다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

 

 

31장. 두 세계의 꼬리: 두꺼운 꼬리와 투자

현실 세계에서는 ‘평균’과 ‘중간’ 못지않게 분포의 ‘꼬리’에서 결정되는

일이 많다_필립 앤더슨

281..표준적 금융이론은 극단적 사건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

282..분포곡선의 꼬리부분이 정규분포보다 두껍다. 예상치 못한 대형

가격 변동이 생가보다 자주 발생한다는 뜻이다.

285..헤지펀드 업계의 참담한 실패는 대부분 두꺼운 꼬리에서 발생했다.

 

 

32장. 두꺼운 꼬리의 비밀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에서 얻을 수 있는 두 가지 교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위험이 축소된다는 이론에는 이해하기 어렵고 

근거도 부족한 많은 가정이 존재한다_브누아 망델브로

290..정규분포와 달리 프랙털시스템에는 평균이라는 통계 수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프랙털 시스템은 파워법칙을 따른다.

293..주식시장의 수익률 분포는 상이한 두분으로 구성된다.

표준이론을 따르는 몸통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을 따르는 꼬리가 그것이다.

294..희귀한 대박을 어떻게 챙기느냐가 투자의 최대 과제이다.

 

 

33장. 도어맨의 망상: 남의 말에 의존하면 투자 위험이 커지는 이유

296..뉴턴의 세계에서 기본 원리는 환원주의다. 부분의 합=전체.

299..복잡한 상황에서는 분권적인 의사결정에 대한 요구가 높다.

300..복잡계-원인과 결과가 쉽게 연결되지 않는다, 모든 결과가 그에

비례하는 원인을 가지고 있지 않다.

301..투자자와 경영자들은 공시 자료에 너무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34장. 라플라스의 악마를 찾아서: 시장에서 인과관계의 역할

303..좌뇌는 단순 계산이상의 일들을 한다. 사건들의 인과관계를 찾는다.

그럴듯한 스토리로 엮으려 한다.

304..인간은 본능적으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려 한다.

306..복잡계란 자기 조직 임계 현상 상태에 있는 시스템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자기 조직 임계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307..신문이 해석한 주가 변동의 이유 중 절반은 펀더멘털과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

310..투자자들의 두가지 함정

-우연히 발견된 것을 인과관계로 혼동한다

-처음 들은 숫자나 이유를 강하게 믿는 경향이 있다.

 

 

35장. 파워 법칙: 파워 법칙과 투자

313..두꺼운 꼬리현상은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중요하다.

315..기업 규모의 분포가 정치와 규제 환경의 변화, 합병의 물결,

신생기업의 등장과 파산, 여성의 근로 참여 등 근로가능 인구 구성의

대규모 변화 등과 별로 관계가 없다.

**기업의 규모는 바로 주가와 연동되므로 극단(예를 들어 시총1위기업)값은

늘 일정비율로 존재할 것이라는 의미같다. 그런 의미라면 언제나

성장하면서 존재할 1위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안정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기준을 공부하고 경험으로 익힐필요없는 투자원칙도 가능할것 같다.

 

317..경제 시스템은 자기 조직적이다. 개별적인 상호 작용에 따라 움직이고,

동시에 임계 상황도 존재한다.

**중앙은행의 시장컨트롤이 매우 어렵고, 언제 임계점에 도달하는지

알 수 없지만 대공황같은 임계점이 존재한다

 

318..파워법칙은 여러 종류의 사회적, 생물학적, 무리학적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놀라운 정확성을 보여준다.

 

 

36장. 숫자의 피라미드: 기업 크기, 성장률, 그리고 가치

323..초대형 기업에 대한 소기업의 비율은 미래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37장. 투자 심리가 뒤바뀐 이야기: 시장 등락 탐색하기

331..생각과 질병의 확산은 모두 S자 형태를 띤다.

사람들은 원칙에 근거하지 않고 남의 행동에 영향을 받아 가치 기준을

정한다. 

시장이 극단적이면 거의 모든 투자자가 허용 임계점을 넘는다.

335..채권시장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도 할인해서 생각해야 한다.

**할인을 하는 방법? 할인율?

 

336..투자자들은 수익률이 가장 낮을 때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가장 높을 때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대한다.

**부화뇌동매매를 막기 위한 나만의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투자원칙을

이해하고 스스로 정한다고 해도 많은 경험이 있기전에는 늘 흔들리기

마련이라(제가 그렇습니다) 시장에 휩쓰리지 않도록 준비해야겠습니다.

 

 

38장. 성공적인 주주가 되는 길: 투자수익에서 자기친화성 찾기

338..프랙털은 자연계 도처에 있고, 나무와 구름, 해안선은 일부 사례일 뿐이다.

그래서 인간에게 시각적으로 친근하다.

340..프랙털이 투자자에게 주는 의미

-수익성이 저조하다면 저조한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의 기대치를 측정할 때 그 기대치가 변할 것인지 아닌지 결정해야 한다

-초과수익이 사라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아보자

-전략이란 무엇을 할지 무엇을 하지 않을지 선택하는 과정이다

-임원을 현명하게 배치했는지

 

맺음말

346..투자지식을 함양하는데 유용한 것

-카너먼 트버스키의 전망이론, 행동재무이론

-파워법칙

-행위주체 기반모형은 각 개인의 차이점을 인정한다

-네트워크 이론

-성장과 트기의 분포

-지속적인 피드백

 

 

부록

감수의 말_신진오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