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_정주영
**읽는내내 가슴이 뛰었습니다. 전혀 알지 못했다가
팟캐스트에 나온 저자의 인터뷰를 듣고 책만 사두었습니다
저자가 이야기를 풀어놓을 때는 소설가가 되었다가,
자기 이야기를 할 때는 진솔한 에세이 작가가 되고,
논문을 분석할때는 사회학자가 되어 이야기합니다.
팟캐스트에서 저자는 이 책을 10년을 준비해서 썼다고
하셨는데 정말로 그럴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책입니다.
제가 자기계발에 대한 계기가 되었던 “네안의 잠든
거인을 깨워라”(토니 로빈스)나 “놓치고 싶지 않은
나의 인생 나의꿈”(나폴레온 힐),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구본형)와 맞먹는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되는게 정말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방법은 늘 있다고 생각합니다
*One Big Message : 스스로 목적을 분명히 하고 내면화할 것.
*One Action : 나의 비전을 반복적으로 앵커링하자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부정적인 신호를 차단하고
끊임없이 긍정적인 신호를 만들어 실천하면 다 된다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차단의 힘, 진솔함, 자아실현방법
-읽은 後 : 신호의 중요성, 존버정신,용기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퍼스널 리셋(이라야)
<중요구절>
프롤로그_10억분의 1의 확률을 뚫다
12..마돈나의 놀라운 그 차단과 자신이 사회에 던지려 했던
메시지에 대한 깊은 이해는 10억분의 1의 확률을 만들어냈다.
1부 차단의 힘
1장 평균에 속지 마라
교실 뒤로 조명이 꺼져버리다
23..우리는 우리의 재능이 얼마만큼 숨어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성공의 첫 번째 전제 조건으로 일단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6..세계적인 CEO들의 평균나이는 55세다
27..정작 같은 동양인끼리 경쟁을 시키면 상당수가 별
볼 일 없는 학생이 되어버릴까?
매끄러운 성공 곡선의 거짓말
29..제임스의 곡선은 정확하게 평균의 ‘덫’에 빠져 있다
**사람들의 오해중의 하나가 세상사가 정규분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라합니다. 실제는 극단값이 중간보다 훨씬
두꺼운 상태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평균으로 획일화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가능성을 평균이라는 덫으로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로즌솔의 손가락
32..우리는 사회가 우리에게 던지는 신호들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것 말고 중요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35..요즘 야구선수들은 이렇게 정신 산만하게 만드는
수많은 요인에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스스로에 대해
잘 알기보다 주변의 반복되는 평가로 자신의 모습을
형성한다.
38..중요한 지점은 페드로이아가 전문가들의 가혹했던
평가에 신경조차 쓰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2장 신호의 힘
하버드에 들어간 키신저의 오로라
42..키신저의 이야기는 어릴 때부터 잘 닦여진 원석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43..사회는 평균적인 시기에 가장 빛나는 사람들을
찾고 승자와 패자를 나누지만, 그 사회가 보내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본질적 힘을 발견하는 차단의 법칙
44..심리학자들이 성공하는 사람들을 연구할수록
개인의 의지보다는 그들을 둘러싼 긍정적 환경의
신호들이 그들을 순환적으로 더 노력하게 만들었다는
점에 있다.
46..학생들로부터 ‘공부를 못한다’는 주변 신호를
차단하자 성적이 두배가량 확연하게 뛰어올랐다
47..중위권 학생들이 가지는 열등감이 상위권
학생에게는 우월감을 느낄 수 있는 연료로 쓰여
진다는 점이다.
49..대부분의 평범한 학생들은 평범해지는 신호를
받는다.
본질만 남은 공간
51..마침내 키신저의 세상이 히틀러와 함께 무너져내리던
순간, 키신저가 처음으로 주변의 모든 것과 극단적인
단절감을 보였던 때였다.
**강력한 경험으로 신호가 차단되기 쉬운 것 같습니다.
토니 로빈스가 기존 습관의 차단책으로 특이하고
강렬한 경험을 만들라고 이야기 하는데, 그것과도
일맥상통하는 내용 같습니다. 아예 신호를 차단하는
계기를 스스로 만드는 것도 좋다 생각합니다
55..재능이 낮아도 장기간의 결의를 가진 아이들이,
재능이 훨씬 많지만 단기간을 예측한 아이들보다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높은 연주 실력을 얻게 된
것이다.
천재들이 다시 일어서는 방법
60..천재는 천재라고 불리기 때문에 더 똑똑해진다.
그 신호가 사라지면 스스로의 확신이 사라지고 현실
도피로 게임기를 들게 된다. 천재들이 다시 일어서기
위해서는 주변의 부정적인 신호를 차단해야 한다.
“내가 이것을 잘한다”고 느끼게 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감정이며, 강점이다.
퀴리가 만난 나를 바꾸는 공식
62..첫번째 원칙, 다른 사람들이나 사건에 패하도록
자신을 내버려 두지 말라.
3장 어두운 곳에서 켜진 재능의 빛
평균 이하 지능에 꽃핀 재능
창의성을 높이는 차단의 힘
73..아이들은 교사의 눈치를 보고 고개를 들어 주변
학생들의 시선을 쓸어담는다. 그 결과 아이들의
창의성은 증발한다.
74..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는 실리콘밸리에서
자폐 성향의 괴짜 인재들이 보통 인재들보다 세배나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제한 집중의 힘
가장 중요한 것만 남기는 법
82..수백 개의 전문분야가 각기 다르게 요구하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들은 놀랄만큼 모두 다르다.
85..천재 고생물학자가 되기 위해 예일대학을
나왔는가 하버드를 나왔는가는 무의미하다. 오히려
본질을 흐린다.
의심에 돌을 던져라
모두가 기억하는 사람들의 감춰진 비밀
92..”그렇지만 이겨나가야 해요. 물론 제 삶은
그 대가를 치렀죠.”
93..무대의 조명이 꺼지면 아이러니하게도 마침내
그 부정적인 신호들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진다.
95..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 CEO의 1/3이 이러한
학습 장애가 있는 사람들로 밝혀졌다
96..애초 다른 길을 걷는 아이들은 전혀 다른 신호를
만난다.
가장 평범한 사람이 가장 특별해지기까지
104..본질은 가장 중요한 것만을 남기고 모든 것을
차단해야 한다.
나디아의 비참한 타협
109..나디아는 전통적인 학교 시스템에 맡겨지면서,
‘제한된 집중’이 해제가 되고 특별했던 미술의 재능을
잃게 되었다.
4장 하버드에서 빛나는 ‘블랙 다이아몬드’
하버드의 두 얼굴
112..등록금 1년치를 걸고 가장 위험한 투자에 가장
높은 수익을 목표로 참여해야 한다.
114..'하버드 애들은 4학년 마지막 학기를 맞을 때까지만
월스트리트를 싫어해요'
세계 최고 인재의 딜레마
116..왜 대다수의 하버드대 학생들은 월스트리트가 보내는
신호를 차단하는 데 실패했는가? “경쟁에 대한 맹목성”
118..엘리트 학생들의 평온함, 뛰어난 달성이라는
그 허울 뒤에 숨겨진 것은 분명 두려움이다.
123..하버드대학을 1등으로 졸업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자신의 분야를 향한 ‘차단된 열정’을 가지고
잇는가였다.
박수가 사라진 공간
130..신호는 그야말로 아무렇게나 만들어서 던질
수가 있다. 환경의 신호는 어떨 때는 자신을 띄우다가
어떨 때는 깡통처럼 만들어버린다.
**신호자체가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세상이
말하는 상식이 완전히 틀릴 수 있습니다(나의 성장을
방해하는 신호일수 있겠죠)
131..’못한다’는 신호 속에 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열등감과 싸우느라 상당한 정신적 자원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
더는 엘리트라 불러주지 않을 때
5장 최고의 순간은 어떻게 오는가
노력 이상이 필요한 순간
140..무엇이 문제인지 모르는 노력은 미묘하게
틀어져버린 화음과 의미 없는 연주를 결코 깨닫지
못한다. 그 상태에서 계속 연주를 반복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것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만들어줄
뿐이다.
블랙 다이아몬드의 교훈
145..모든 아이들의 재능은 이렇게 객관적인 것만으로
설명되진 않는다.
147..카라얀이 잊지 못하는 순간이 하나 있다. 여섯살에
수력터빈으로 작동하는 발전기를 켜본 경험이 있었다.
환경 신호의 차단
155..푸르트벵글러가 카라얀을 쫓아내기 위해 로비를
하든 말든 냉정하게 더 많은 재능의 설득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질이 담긴 노력
162..남들이 권하는 ‘장미’ 대신에 자신만의 가장
소중한 ‘들소’를 떠올리는 것.
164..편곡시험에서 다른 학생들은 긴장한 표정으로 조심스레
오케스트라를 지휘해보는데, 오히려 카라얀은 진짜
지휘자처럼 군 것이다.
166..현재 실력과 상관없이 가장 뛰어난 미술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한 학생들이 10년 후 미술 분야에서
성공하는 것이 목격되었다
최고의 환경은 최고의 인재를 만드는가?
173..자신을 향한 부정신호는 차단해보지 않은 사람에게
큰 당혹감과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카라얀의 씨앗
177..왜 대다수는 자신에게 그 재능이 없다고 주장하는 걸까?
평범한 재능을 최고로 지휘하는 법
2부 깊은 이해의 힘
6장 혁신적인 발견의 비밀
10만 년의 법칙
192..소수엘리트층을 제외한 인구 숫자는 적당히 조절
되어야 된다는 게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발견이다.
법칙을 부숴라
193..맬서스의 10만년 이론은 바로 붕괴되었다.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이 수십 배나 갑자기 뛰어오른 것이다.
산업혁명.
197..오늘날처럼 명문대와 일찍 만든 패배자들로 양분화된
시대가 아니었다.
2.5센티미터의 발견
존 매캐덤 사례
최고 엘리트들은 어디까지 성공할 수 있는가
프랑스 그랑제콜 사례
205..당시의 산업혁명을 만든 사람들을 살펴보면
단 한명의 엘리트도 찾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는 위대한 혁신을 이룰만한
사람들을 하버드나 최고의 엘리트들에게서 찾고
그들에게 기대한다.
207..19세기 이전에는 세계 어디에도 공교육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어요. 산업사회의 수요에 의해서 생긴
것들이지요.
하버드에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것들
212..십여개에 달하는 과학 분야에서 선정한 백여가지
서로 다른 사례를 훑는 것보다 한 분야를 깊게 탐구함으로써
‘과학자처럼 생각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이 부분에서 의아함이 생겼습니다. 보통 학문간의 통섭에
의한 해법이 우수하다는 보고서가 많습니다. 한 학문을
깊게 연구한다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통섭적 시각이 중요시되고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말입니다.
무명 교사에서 세계적인 학자로
7장 간격 효과
혜성같이 등장한 천재 학자
220..전기가 아닌 화학적 신호로 몸이 움직인다고 밝혀낸
뢰비 사례.
하버드를 뛰어넘는 힘
223..바릭의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얼마나 한 분야를 오랫동안 포기하지 않는가가 노력의
총 시간보다 더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간격 효과가 벌리는 성공의 격차
8장 하버드 최고의 교수가 되기까지
어떤 하버드 교수의 비밀
236..문제는 사회가 나를 향해 있지 않을 때다. 그때부터
주변의 환경이 만드는 거대한 신호들은 나를 파괴시키는
신호가 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은 상당 부분 타인에게서 온다
중요한 변화는 칭찬에서 시작되었다
247..그 작은 신호가 바뀌자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바뀌었고, 그 뒤로 그의 모든 것이 바뀌었다.
공부에서 초월적 목적을 느끼는 순간
248..학생들에게 새로운 신호를 주입하고 스스로
신호를 만들 줄 아는 힘을 기르게 하자 학생들이
분명하게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스스로 그 신호를 만들어서 닻을 내리고, 그것을
강화할 수 있다면 못할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자기계발에서 늘 찾아왔던 부분이기도 해서
그런지 너무나 반가운 구절이었습니다
257..학생들이 자신만의 신호를 만들자 성적이
의미있게 올라가기 시작했다.
공부에서 지루함을 어떻게 떨쳐버릴까
258..공부에 위대한 목적을 갖게 되고, 아이들이 새로운
가치관이 잡힌 신호를 매일 접하더라도 공부할 때의
지루함은 동일하게 겪는다는 사실이다.
259..공부에 대해 자신만의 위대한 목적과 가치관을
만들자 더 많은 투자와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이 생겼고,
그 지루한 수학 풀이 과정도 끝까지 견뎌내었다.
더쇼비츠가 만난 깊은 이해의 힘
264..하버드대 학생들이 더쇼비츠가 순전히 ‘교수’라는
이유로 겁을 먹고 있었다. 그 신호를 부숴보자
9장 하버드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물결
하버드가 해결하지 못하는 것들
270..흑인은 여전히 지적으로 열등한 신호를 받고 있다
새로운 신호를 만드는 힘
273..스탠퍼드대 흑인 학생들에게 스탠퍼드대학을
꿈꾸는 중학생을 멘토링하는 역할을 맡게 했다. ‘너 또한
아시안인처럼 수학을 잘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기
시작했다.
274..왜곡된 사회신호를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자 놀라운 성적을 얻었다.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인상적인 면접
내 안의 발견되지 않은 힘
280..긍정적인 신호만 받으며 성장하면 부정적인 신호에
대한 내성을 결코 길러낼 수 없다.
에필로그_당신의 한계를 긋는 신호를 차단하라
290..노력과 재능을 아무리 더해도 한 번 ‘부정적인 신호’에
전염되면 그 신호는 학생의 노력과 재능을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눌러버렸다
291..왜 고난이도 문제를 풀 때 신호가 영향을 주는 걸까?
신호는 순간적으로 우리 뇌 속의 작업기억력을 떨어뜨려버린다.
작업기억력은 재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95..사람들이 나를 정의했던 모든 것들 또한 본질 앞에서는
결국 ‘무’로 돌아간다.
296..내가 제일 먼저 했던 것은 그런 신호를 보냈던
사람들을 내 반경에서 쫓아냈다는 것이다.
**20살이 되었을 때 부모님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무작정 나와 살기 시작했었는데, 아마도 나를 제약하는
신호를 차단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우리 가족들을 너무나 사랑하지만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꼭 같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300..한 분야에서 1등급의 신호를 만들어내자 그 아이의
모든 분야의 성적이 1등급을 향하기 시작했다.
301..지금 당신이 서 있는 분야에서 당신은 어떤
신호를 받고 있는가?
감사의 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