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자기계발

NLP 행복코드로 세팅하라_호리이 케이

홍빵30 2020. 7. 11. 19:34

**사람이 무언가를 인지하고 그에 대하여 반응하고 사고하는 일련의 과정은 나만의

필터를 통해 그 절차가 진행됩니다. NLP는 그 필터를 개선하여 원하는 과정으로 이끄는

방법론을 말합니다(제가 이해하기로는요^^;;). NLP가 궁금해서 몇권 찾아 읽고 있는데

혼자서 습득?하기가 어렵네요. 조만간 오프라인 강좌를 들어야 할 것 같다능.

NLP하면 가장 유명한 분이 토니 로빈스 일 것 같은데, 분량면에서는 본서가 접근하기가

쉬운 것 같습니다.

 

*One Action : 아주 작더라도 NLP하나씩 실천해보기 (+)될 때까지.

 

*유용성(독서목적 관련) : 투자자의 그릇을 만드는 것은 결국 개인의 그릇이라 스스로 정비하고 

그릇을 키울 수 있는 방편을 제시해주는 책임.

 

*핵심 키워드

-읽기 前 : 솔직함, 기술의 필요성, 주인의식

-읽은 後 : 나답게 사는법, 기술의 필요성, 쿨해지는 법

 

*연관지어 읽고 싶은 책 : NLP와 건강

 

 

 

 

<중요내용>

 

추천의 글

이 책을 통하여 인간관계의 질을 증진시키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여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환경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한 심플하면서도 매우 실용적인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감수자의 글

사람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의

지각된 현실에 대하여 반응한다는 것이 NLP의 대전제이다.

 

저자의 글

신경과 언어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러가지 문제들은 사실, 표면적인 어떤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깊은 내면의

원인에 의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문제란 현상과 바람직한 상태와의 사이에 있는 차이이다. 그 간극을 메울 수

있는 해답이 반드시 있다.

 

 

1. 자신의 소망으로 다가서다

29..당신은 무엇을 바라고 있습니까? 그것을 막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지만 우리는 평소에 이런 질문 대신 주로 ‘좋은가 나쁜가, 혹은 바른가 

틀렸는가’를 기준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37..무작정 ‘내 탓이지 뭐’. 하면서 원인을 돌려버리고 사건을 종결지어

버리는 것은 그다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자신이 어떻게 하고 싶은지를 생각하는 것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찾기 시작하는 것이기도 하다.

41..당신에게 벌어지는 좌절이나 실패의 경험들은 그리 최악이 아니다.

43..유연성을 가지고 선택지를 늘린다.

 

 

2. 당신에게 최고의 행복한 상태는?

50..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은 우선 낙심,고민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리소스풀한 상태, 타임라인과 앵커링, 포지션 체인지, 앵커링, 모델링,

스위시, 인티그레이션, 식스스텝 리프레이밍 등

52..사람의 행동에는 반드시 긍정적인 의도가 있다.

56..당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것뿐만이 아니라 앞으로 손에 넣을 수 있는

모든 것이 리소스로 파악된다.

59..한 사람의 리소스는 무한하다. 자랑할 게 없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찾아보면 누구나 많은 리소스를 가지고 있다.

60..사람은 리소스풀한 상태로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현재 처해있는

문제에서 벗어나 자신이 바라는 상태로 향해 갈 수 있는 전향적인 행동을

시작할 수 있다.

62..중요한 것은 그림,소리, 몸의 감각을 구체적으로 기억하여 체험해야

한다는 점이다.

65..자신의 목표가 다른 사람들의 목표나 바람직한 상태를 방해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69..실제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에 관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부터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행복으로 이끄는 나만의 커뮤니케이션

75..당신이 바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그것을 방해하는 것을 발견,

제거하여 바람직한 상태를 만들어 가는 데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것이

바로 커뮤니케이션인 것이다.

77..’뇌 속에 있는 것’은 체험을 통하여 기억된 말(언어)다. 그리고

뇌 속에 있는 언어 전체는 뇌내언어 맵을 형성하고 있는데 사람에

따라 이 뇌내언어 맵이 각기 다른 것이다.

79..자신의 뇌내언어 맵을 익혀 두고, 그것을 확장하여 자아 실현의

가능성을 넓혀 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81..미러링은 상대방을 그대로 따라하는 기법이다. 래퍼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82..상대방의 말을 반복하는 백트래킹.

83..래퍼를 형성하기 위해 호흡이나 동작, 음조 등을 상대방과 맞추는 

것을 페이싱이라 한다.

86..상대를 보고 거기에서 상대방의 상태를 읽는 것을 캘리브레이션(심리적

내면정보 수집)이라고 한다.

89..상대의 눈을 읽는 Eye Accessing Que. 무의식적인 시선을 쫓아라.

95..포지션 체인지 (Position Change: 지각 위치 바꾸기)

96..세가지 포지션, 나는~, 그는~, 당신은~

어소시에이트(일체화), 디소시에이트(분리화)

99..마스터한 다음에는 실제 몸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서도 의식만으로

포지션 체인지를 할 수 있게 된다.

 

 

 

4. 행복, 만족, 그리고 유토피아를 향해

115..리소스풀한 상태를 몸에 기억시킨다-앵커링(Anchoring)

116..앵커링이란 리소스풀한 상태를 불러 일으키는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방법이다.

134..타임라인과 앵커링

137..자기가 원하는 결과가 마치 이루어진 듯한 느낌은 원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실현하는 데 커다란 힘이 된다.

138..실제로 무엇이 필요한 것인지는 우선 ‘성공인’이 되고 나서 생각하면

된다. 이것이 NLP의 모델링이라는 사고방식이다.

142..몇번이고 반복하여 이미지 하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그녀의 동작이

내 몸에 익혀져 자연스럽게 그녀처럼 움직이게 되었던 것이다.

145..Swish, 자신의 행동 중에서 ‘하지 않고 싶다’고 생각되는 것을 

그만두고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는 없을까?

 

 

우리가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것들에는 다중적인 의미가 있다

5. 모든 행동에 숨겨져 있는 긍정적인 의도

161..그것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수단을 제공해 주지 않은 채 담배를 끊는

것은 처음부터 무리다.

163..행동을 바로 잡으려면 그 행동의 긍정적인 의도를 충족시키는

다른 행동을 제시하여 그것을 대신 실행하도록 해야 한다.

167..NLP에서 긍정적인 의도를 찾는 것은 효과적인 치유, 혹은 변화를

위한 것이지, 있는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묵인하기 위한 것이

절대 아니다.

178..부모가 자녀에게 건네는 애정의 말이 애정으로 표현되지 않고, 걱정

,불안으로서 전해지는 경우가 많다. 

181..(step 4)내부의식 중 리소스풀한, 또는 창조적인 파트에게 그 긍정적인

의도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다른 행동을 세가지 가르쳐 달라고 부탁한다.  

 

 

6. 최고의 인생으로 다시 태어나다

192..NLP를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것은 지금까지의 인생에서 형성된

뇌내 언어 맵을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간절하게 바라는 상태를 이루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있는 원인들이 이 뇌내언어 맵 속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97..문제나 고민거리는 환경 레벨이나 능력 레벨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199..여러 삶의 문제들은 환경, 행동, 능력 레벨의 문제처럼 보여도

사실은 신념/가치관, 아이덴티티와 같은 상위의 의식 레벨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201..신념이나 가치관을 바꾸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것 같이 느껴진다.

202..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가장 상위 레벨인 스피리츄얼 레벨에까지

의식을 가지고 가면 자신의 존재 의의, 자신이 정말로 소중히 여기는

것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아이덴티티나 신념/가치관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203..세상은, 당신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절대로 당신을 위해서 성격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다.

205..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Response+Ability:대응하는 능력’,

연결한 말이 Responsibility(책임)이다.

207..스스로 자기 자신을 인정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승인하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211..규칙이 가장 자유롭다.

212..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클라이언트다.

216..어떤 룰이나 형식이 없다면 서로 위화감을 갖게 되어 해결의

실마리도 찾지 못한 채로 그것이 증폭되어 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219..NLP를 계속 활용하라

Challenge: 당신의 뇌내언어 맵의 외부에 있는 가능성에 도전하자

Commitment: 장애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원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을 시작하자

Communication: 자신의 기분을 솔직하게 말로 표현하자. 그리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자. 상대방과 두터운 래퍼를 만들고 깊게 

커뮤니케이션하자.

 

 

■NLP를 교육에 활용한다

239..혼자서 묵묵히 제 할일만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241..NLP는 가르치지 않는 교육기법, 상대방 속에서 무엇인가가 

일어나게 하는 방법이다.